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6. 6世 〉18. <부정공>정부인창녕성씨할머님묘소사실서(貞夫人昌寧成氏墓所事實叙)
1. 문헌 목록 〉6. 6世 〉20. <부정공>양세성인실기발(兩世成仁實記跋)
1. 문헌 목록 > 6. 6世 >  
19.<부정공>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절민공(節愍公)
兩世旌閭記 順天府西富有縣謙川之上有兩世忠 旌爲人士所式者即故 莊陵殉節臣節度使 贈兵曹判書諡節愍號竹村趙公諱崇文暨其子 贈童蒙敎官號龜川趙公諱哲山之閭也舊有謙川祠寔二公爼豆而撤於太上戊辰今惟存此烏頭赤脚而已後孫等懼遺風之漸湮使門士彦變請記於不佞謹按公家淵源來自勝朝竹村公即玉川府院君諡忠獻公元吉之孫副正虔谷公瑜之子也以武略被擢於英陵晟際與成忠肅勝兪忠穆應孚諸公爲伍受北方鎖鑰之任禦野人有功又爲忠肅之妹婿志同議合自少已然至乙亥 端廟遜位謂其子曰事已至此惟有一死而已語及時事父子輒相對涕泣丙子與忠肅子忠文公三問謀復舊主六臣既被鄭昌孫金礩所吿而公父子亦辭連逮礩等與公有舊欲脱其禍以微辭諷之公張目大叱曰食人之食而忘其恩者實犬彘不若吾實欲歸見謹甫又顧其子曰爾將見我於地下無怍顔足矣龜川公素有異質尚氣節忠文函稱其篤行竟與父同謀並死於六臣之死嗚呼偉矣自 正祖以後天褒隆重己亥七月特 旌兩忠之門繼而 贈職易名壇配祠享崇報無憾噫二公之於名敎闕係既重則身後之升沉顯晦固皆有天定然雲仍之繼述士民之取則皆由於天彝之所好者也若表揭二公大節公共聳省俾過此者或免昏衢迷路之歎而狂瀾陷溺之勢少有一半分救得則豈不美哉遂感而爲之記 月城 崔永祚 謹記 參奉雲齋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 순천부 서쪽 부유현(富有縣) 겸천 위에 양세 충절을 기리는 정려가 있어 사람들이 공경하니, 이는 바로 고 장릉(莊陵) 단종을 위해 순절한 절신(節臣) 절도사 증병조판서 시호 절민공, 호 죽촌(竹村) 조공 휘 숭문과 그의 아들 증 동몽교관 호 귀천(龜川) 조공 휘 철산의 정려이다. 옛날에 겸천사(謙川祠)가 있어서 이 두 공을 제사하였는데 태상왕(太上王:高宗) 무진년(一八六八)에 철훼되어 지금은 오직 황폐한 터만 남아 있다. 후손들이 그 유풍이 점차 인멸되어 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집안의 선비 언섭(彦燮)을 시켜 나에게 기문을 청하였다. 삼가 상고하건대, 공의 집안 내력은 고려 때부터 시작된다. 죽촌공은 옥천부원군 시 호 충헌공 원길(元吉)의 손자이며, 부정 건곡공 휘 유(瑜)의 아들이다. 무략(武略)으로 세종(世宗) 성대에 발탁되어 충숙공 성승(成勝)과 충목공 유응부(兪應孚) 제공과 짝이 되어 북쪽 국경을 지키는 책임을 맡아 야인 막는데 공을 세웠다. 또 그는 충숙공의 매서로 뜻과 의논이 젊어서부터 같았다. 을해년에 이르러 단종이 왕위에서 물러나니 그의 아들에게 말하기를, 『일이 이 지경이 되었으니, 죽을 수 밖에 없다.』 하고는 말이 시사(時事)에 미치자 부자가 서로 얼굴을 맞대고 흐느꼈다. 병자년에 충숙공의 아들 충문공(忠文公) 성삼문(成三問)과 단종 복위를 음모하다가 사육신은 모두 정창손, 김질 등의 밀고로 체포되고, 공의 부자 역시 말이 연루되어 체포되었다. 김질 등은 공과 아는 사이여서 화를 면하게 해주려고 하여 몰래 귀뜸해 주었으나 공 은 눈을 부릅뜨고 크게 꾸짖기를 「사람의 밥을 먹는 자가 그 은혜를 모르면 시直 개돼 지만도 못하다. 나는 죽어서 근보(謹甫 성삼문)를 보겠다.」 하고는 또 그의 아들을 돌아 다 보면서 『너는 나를 지하에서 만날 때 부끄러운 일이 없도록 하거라, 그러면 족하다』 하였다. 귀천공은 평소 뛰어난 자질로 기절(氣節)을 숭상하여 충문공이 그의 독실한 행실을 극찬하였다. 그러다 마침내 아버지와 함께 모의하다 육신들과 같이 죽었으니, 아 위대한 일이다. 정조(正祖)이후부터 임금의 포상하는 은혜가 융숭하여 기해년 七월에 특별히 양충 (兩忠)을 기리는 정려를 내리고 벼슬을 추증하고 시호를 내렸으며 단(壇)에 배향하였으니 큰 포상이 유감없게 되었다. 아! 두 공의 행실이 명교(名敎)에 관계됨이 이미 중하고, 죽은 뒤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다가 드러난 것은 본디 하늘이 정한 것인데 그의 자손들이 계술(繼述)하고 선비들이 우러르는 것은 모두 천륜(天倫)을 좋아 함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정표하고 현양한 두 공의 큰 절의는 온 세상이 공경하고 볼 것이니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 가운데 혹 갈 바를 모르고 헤매는 자가 있다면 그런 탄식을 면하게 해 줄 것이며 미친 듯 거센 파도에 빠져드는 형세에 놓인 자가 있으면 조금은 구해 줄 것이니 어찌 아름다운 일이 아니겠는가. 감회가 깊어 이에 적는다. 월성(月城) 최영조(崔永祚) 삼가 지음 벼슬은 참봉, 호는 운재(雲齋)이다
 
1. 문헌 목록 〉6. 6世 〉18. <부정공>정부인창녕성씨할머님묘소사실서(貞夫人昌寧成氏墓所事實叙)
1. 문헌 목록 〉6. 6世 〉20. <부정공>양세성인실기발(兩世成仁實記跋)